졸업 후 진로
미술사는 동양미술사와 서양미술사 등의 총체적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안에는 회화사·조각사·건축사·공예사·도자사·사상사·박물관학 등으로 세분해 할 수 있다. 물론 본 학과에서는 학문을 연구하는데 이론적인 실증에 따른 다양한 학습방법과 더불어 현장학습과 실물의 문화재를 접함으로써 심미안적 시각과 체계적인 연구방법을 습득함을 목표로 하고 있다.
졸업 후에 대학과 같은 학습기관이나 박물관, 미술관등의 문화기관 그리고 문화재 관리국, 문화재청과 같은 전문기관에 학예원이나 기타 연구원으로 진출할 수 있으며 그밖에 언론기관이나 다양한 문화기관에서 문화와 관련된 기자나 연구원으로써 활발한 활동을 할 수 있다.
- 박물관 : 학예연구원, 보존연구원, 섭외연구원, 발굴조사연구원
- 미술관 : 큐레이터, 전시디스플레이어, 자료실연구원, 홍보관리연구원
- 국·공립기관 : 학예연구관, 기타 연구관 (직급 공무원 계열)
- 언론기관 : 기자, 문화자료연구원, 기록과학연구원 등
전망과 비전
본 학과에서는 졸업 후에 진출할 수 있는 박물관, 미술관 등의 학예연구원과 문화기관 그리고 문화재 관리국, 문화재청과 같은 전문기관의 공무원 및 연구원, 그밖에 언론기관이나 다양한 문화기관에서 활발한 활동할 수 있다. 이러한 직업은 학예연구원이라는 포괄적인 의미를 가지지만 그 안에 다양한 직업적 루트를 가지고 있다. 특히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도 다른 외국과 마찬가지로 문화재전문인인 '큐레이터'나 '학예원구원'이라 불려지는 이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능력을 배양한 인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즉 ‘미술사의 꽃’으로 불리는 박물관과 미술관의 전문연구원 인력의 사회적 인식이 높이 대두된 것이다. 따라서 과거로부터 현재를 거쳐 좀더 미래에는 미술사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점차 확대, 정착되어갈 것이다. 이에 본 학과의 졸업생에 대한 수요는 계속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며, 이 분야에 관한 밝은 전망이 기대되고 있다.
중장기 발전계획
목표
미술사학과 특성화 방향과 전략
우리 미술사학과는 과거와 미래가 서로 호응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구축함으로써 향후 2015년까지 10년에 걸친 장기적이고 점차적인 미술사학과 특성화 발전에 중점을 두며 이후 한국의 유수한 미술사학과로 발전하고자 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우리 미술사학과는 국제적 감각과 역량을 갖춘 졸업생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특히 연구에 필수적인 언어능력의 향상과 첨단 기술 문화의 생산에서 주도적인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세계와 만날 수 있도록 준비한다. 또한 세계적 수준의 연구활동을 위해서는 세계와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일 역시 중요하다. 우리 미술
- 커리큘럼을 구성할 때 학과의 교육목표를 현실화할 수 있도록 하되, 학부수준에 맞게끔 유기적으로 배정한다.
- 전공과목을 각 학년의 학습 수준에 맞게 단계별로 세분화해서 수강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교양과목을 각 학년별 수준에 맞게 수강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나아가 전공과 연계될 뿐만 아니라 각 학생의 관심에 맞는 수강이 이루어지도록 지도한다.
계획년도 | 목표 |
---|---|
2005년~2008년 | 미술사학 영역에서 자생적인 담론의 역사적 범례들을 발굴하여 학문으로 연장시킨다. |
범례들을 정리 분석하고 미술사학의 영역에서 한국성 개념의 도출 가능성을 타진한다. | |
2008년~2012년 | 규정 가능한 개념들을 통해 이론적 원리의 도출을 도모하여 좀더 획일화 되고 체계적인 학문으로 발전시키도록 한다. |
이론적 원리들로부터 현시대 미술사학의 방법론으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하여 학부에서 대학원으로 학문연장이 가능하도록 길을 열어준다. | |
2012년~2015년 | 유관 학문 분야와의 비교 및 공동 연구를 통해 보편성을 획득할 수 있는지를 확인한다. |
국내 학술대회를 통해 자생적 방법론의 가능성을 검증한다. |
기본방향
1. 미술사학과 전략의 체계성
미술사학과가 특성화 목표를 지향하며 체계적인 구성을 위해서는 첫째 학부와 대학원만의 독특한 자생성 구축과 연관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하여 다른 학교나 타 학과의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운용한다. 미술사학과가 추구하고자 하는 목표에서도 밝히듯이 역사성 위에 포괄적 의미의 학문의 이해를 토대로 한 미술사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말하고자 하는 학문적 이해란 먼저 한국적 문화의 이해를 기본으로 다양화고 세분화된 전공 선택에 있어서 탄탄한 지식 함양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전공 커리큘럼의 효율적인 구성을 도모하여 기존의 재학 중인 학생들과 이후 전공하게 될 학생들의 본격적인 전공교육의 특성화 전략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이에 먼저 학부생들에게 미술사학과가 추구하고자하는 목표와 차별화된 전략성을 이해시켜야 할 것이다.
2. 미술사학과 전략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는 세계사적 지평에서 한국의 문화현상에 대한 엄밀한 분석과 이해를 도모하여 이를 학문적으로 성취하며, 나아가 이를 토대로 민족과 인류에 도움을 줄 지도적 일꾼을 배양하고자 한다. 이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학부 교육을 유기적으로 체계화 한다. 무엇보다도 학부는 해당 전공분야의 기본적인, 그래서 더욱 중요한 소양을 연마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공에 대한 기본 소양을 쌓으며, 사회에 나아가 자신의 관심 영역에서 자신감 있게 활동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계획년도 | 목표 |
---|---|
2005년~2008년 | 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공식적인 루트 이외의 혁신적인 방안을 강구한다. 특히 미술관과 박물관 현장 교육을 편성해서 직접 인솔함으로써 학생들의 체험 교육 동참을 유도한다. 이는 강단에서와는 다른 친밀감을 형성뿐만 아니라 다른 타대학과의 교육 자체와도 차별성을 두게 된다. |
2008년~2012년 | 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공식적인 루트 이외의 혁신적인 방안을 강구한다. 특히 미술관과 박물관 현장 교육을 편성해서 직접 인솔함으로써 학생들의 체험 교육 동참을 유도한다. 이는 강단에서와는 다른 친밀감을 형성뿐만 아니라 다른 타대학과의 교육 자체와도 차별성을 두게 된다. |
미술사학과의 특성상 일정기간의 답사를 통해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다방면의 길을 제시한다. | |
학내에서 이루어지는 학생활동이외의 다양한 활동의 가능성을 알려줌으로써 새로운 관심과 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가령, 학교 외에서 행해지고 있는 미술사연구단체를 소개하고 활동을 권장한다. | |
2012년~2015년 | 대내외적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학술활동을 파악해서 미술사학과 유관하며 폭 넓은 학술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학과차원에서 지도하고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
2012년~2015년 | 유관 학문 분야와의 비교 및 공동 연구를 통해 보편성을 획득할 수 있는지를 확인한다. |
국내 학술대회를 통해 자생적 방법론의 가능성을 검증한다. |
구체적 실행방안
산한연계 교육 프로그램
- 1박물관 학예사 교육프로그램과 연결
현재 주요 국공립 박물관과 미술관에서는 전시 기획과 섭외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 진행중이다. 이 프로그램은 현장실습 위주로 진행되며, 졸업 후 사회 진출에 일익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 2전문 잡지 및 언론사와 연계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미술관련 전문 잡지, 일간지, 방송사 등 다양한 형태의 언론매체에서 현장학습의 기회를 제공함 으로써 현실감각을 익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3문화재 기획 관리 및 해설사 교육 프로그램
근래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문화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각 도와 시군별 문화재 기획 관리에 지대한 관심과 역량을 투하하고 있으며, 그 한 예로 문화재 해설사를 양성하여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그 수준이 미흡한 실정이다. 미술사 영역을 기초로 다진 학생들에게 문화재 해설사의 뛰어난 역량을 발휘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